러시아 2월 혁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2월 혁명은 제1차 세계 대전의 부담, 차르 체제의 모순, 그리고 라스푸틴의 영향력으로 인한 민심 이반을 배경으로 1917년 2월에 발생한 사건이다. 국제 여성의 날 시위를 시작으로 노동자, 군인, 시민들의 봉기로 확산되었으며, 군대의 반란과 두마의 역할 증대로 이어진다. 혁명 이후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가 결성되어 임시 정부와 이중 권력 체제를 형성했다. 임시 정부는 개혁을 시도했지만, 전쟁 지속, 토지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10월 혁명으로 붕괴되었다. 2월 혁명은 러시아의 민주주의 혁명을 시도한 사건으로 평가되며, 역사적 해석에 따라 다양한 관점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제국의 해체 - 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서
에스토니아 독립 선언서는 1918년 마아페에브에 의해 발표되어 에스토니아를 독립 민주 공화국으로 선포하고 국민에게 자유와 평등을 보장하는 원칙을 제시했으며, 이후 독립을 확고히 하고 국제적 승인을 받았으나 점령과 강제 합병 속에서도 독립 정신을 일깨워 1991년 완전한 독립을 되찾는 원동력이 되었다. - 러시아 제국의 해체 - 리투아니아 독립법
리투아니아 독립법은 1918년 리투아니아 평의회가 리투아니아를 민주 국가로 재건하고 이전 국가 관계를 종료한다고 선언한 법안으로, 리투아니아 독립의 법적 근거이자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계승을 선언하여 현재 리투아니아의 법적 토대가 되었다. - 러시아 공화국 - 러시아 임시정부
러시아 임시정부는 1917년 2월 혁명 후 수립되어 전러시아 입헌의회 소집을 목표로 자유주의자들이 주축이 되어 구성되었으나, 소비에트와의 갈등, 내부 문제, 외부 압력 등으로 10월 혁명으로 붕괴되었고, 짧은 기간 동안 국가와 교회의 분리, 농촌 자치 강화 등 진보적인 정책을 추진했지만 집행력 부족과 이중 권력 구조로 실패하며 민주주의 확립과 사회 혁신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사례로 남았다. - 러시아 공화국 - 겨울 궁전
겨울 궁전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바로크 양식 궁전으로, 1732년부터 1917년까지 러시아 황제의 공식 거처였으며 현재는 에르미타주 미술관의 주요 건물이다.
러시아 2월 혁명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2월 혁명 |
로마자 표기 | Pebeurarskaya revolyutsiya |
러시아어 표기 | Февральская революция |
다른 명칭 | 2월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 Fevral'skaya Burzhuazno-demokraticheskaya revolyutsiya |
시기 | 1917년 3월 8일 – 1917년 3월 16일 (구력 2월 23일 – 3월 3일) |
장소 | 페트로그라드, 러시아 제국 |
원인 | 자유주의 및 사회주의 정당 내에서 짜르 체제에 대한 반대 증가 제1차 세계 대전에서의 러시아 군의 패배 빈곤에 대한 대중의 불만 |
결과 | |
결과 | 혁명 세력의 승리 |
주요 결과 | 러시아 제국의 멸망 러시아 제국의 해체 러시아 임시 정부와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 간의 이중 권력 기간 러시아 공화국 선포 10월 혁명 및 러시아 내전 시작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정부: 상트페테르부르크 경찰 헌병 내무부 페트로그라드 수비대 군주제주의자: 러시아 회의 군주주의 연합 러시아 국민 연합 |
교전국 2 | 자유주의자: 카데트 옥톺리스트 진보당 사회주의자: 사회혁명당 러시아 사회민주노동당 멘셰비키 볼셰비키 다슈낙 |
지휘관 | |
지휘관 1 | 니콜라이 2세 니콜라이 골리친 세르게이 하발로프 미하일 벨랴예프 니콜라이 이바노프 알렉산드르 프로토포포프 블라디미르 푸리시케비치}} 알렉산드르 두브로빈 |
지휘관 2 | 게오르기 리보프 파벨 밀류코프 알렉산드르 구치코프 미하일 로지안코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빅토르 체르노프 율리우스 마르토프 니콜라이 치헤이제 알렉산드르 실랴프니코프}} 니콜라이 톨마초프 스테판 샤후미얀 |
병력 | |
교전국 1 병력 | 페트로그라드 경찰: 3,500 |
교전국 2 병력 | 미상 |
사상자 | |
교전국 1 사상자 | 미상 |
교전국 2 사상자 | 페트로그라드에서 1,443명 사망 |
이미지 | |
![]() | |
![]() | |
![]() |
2. 배경
제1차 세계 대전은 러시아 제국에 막대한 부담을 안겨주며 2월 혁명의 주요 배경으로 작용했다. 러시아는 세르비아와의 상호 협약에 따라 오스트리아와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고 참전했다.[8] 초기에는 오스트리아 방면에서 승리했지만, 1914년 타넨베르크 전투와 1915년 고를리체-타르누프 전투 등 독일과의 전투에서 연이어 패배하면서[9] 전황은 불리하게 전개되었다.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러시아는 심각한 인명 피해와 경제난을 겪었다. 1917년 1월까지 사망, 부상, 실종 등 약 600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반란이 빈번해졌으며, 사기는 극도로 저하되었다.[9] 탈영률은 혁명 전 한 달에 약 3만 4천 명에 달했다.[9]
내부적으로는 기근이 임박했고, 과도하게 늘어난 철도망 때문에 상품이 부족해졌다.[9] 성장률이 높았던 러시아 경제는 전쟁으로 유럽 시장에서 차단되었고, 산업은 압박을 받았으며, 인플레이션이 치솟으면서 임금이 따라가지 못했다.[4]
차르 니콜라이 2세는 1915년 여름, 군의 최고 사령관이 되어 직접 군을 지휘하려 했으나, 이는 오히려 군주제를 인기 없는 전쟁과 연관시키고, 그의 무능한 지휘는 전황을 더욱 악화시켰다.[10] 또한, 니콜라이 2세가 전선에 나가 있는 동안, 독일 출신 황후 알렉산드라가 라스푸틴의 영향 아래 국정을 운영하면서 민심은 더욱 이반되었다.
러시아 제국의 황제 니콜라이 2세의 전제 정치는 시대착오적인 것이었으며, 의회(두마)의 권한은 극히 제한적이었다.[8] 정부의 부패와 무능은 민중의 불신을 증폭시켰다.[13] 특히, 독일 제국 출신 황후 알렉산드라와 요승 라스푸틴의 국정 농단은 황실의 권위를 실추시키고 민심 이반을 가속화했다.[11][14][15]
사라예보 사건을 계기로 1914년에 발발한 제1차 세계 대전은 유럽 열강을 끌어들이며 각국의 총력전으로 치달았다. 러시아 제국은 세르비아와의 상호 조약에 따라 오스트리아와 독일에 선전고하고, 오스트리아 전선에서 초기에는 승리를 거두었으나, 독일과의 전투에서는 1914년의 탄넨베르크 전투와 이듬해의 고를리체-타르누프 전투를 시작으로 패배가 이어졌고, 국내에서는 길고 힘든 전시 생활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고 있었다. 차르에 대한 농민들의 존경심은 변함이 없었지만, 라스푸틴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독일 출신의 알렉산드라 황후에 대한 공개적인 비난이 행해지는 등, 국내의 불안정 요인이 엿보이고 있었다.[8]
1916년 12월 30일 라스푸틴이 암살당하고 암살범들이 처벌받지 않자, 이는 니콜라이 황제의 아내가 라스푸틴(스타레츠/ста́рецru)에게 의존한다는 비난의 진실을 보여주는 징후로 해석되었다. 도덕적으로 나약한 존재로 전락한 황제의 권위는 더욱 추락했다.[11] 1915년 9월부터 1917년 2월까지 '황후의 통치' 17개월 동안 러시아는 총리 4명, 내무부 장관 5명, 외무장관 3명, 육군부 장관 3명, 교통부 장관 3명, 농업부 장관 4명을 거쳤다. 이른바 '장관들의 줄사퇴'는 유능한 인물들을 권력에서 제거했을 뿐만 아니라 아무도 직책에 충분히 머물지 못해 업무를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에 정부 업무를 혼란에 빠뜨렸다."[13]
두마 의장 미하일 로디안코, 마리 파블로브나 대공녀 그리고 영국 대사 버캐넌은 알렉산드라 황후의 영향력 배제를 요구했지만, 니콜라이 황제는 여전히 그들의 조언을 거부했다.[14] 많은 사람들은 문제가 라스푸틴이 아니라고 결론지었다.[15]
2. 1. 제1차 세계 대전의 영향
제1차 세계 대전은 러시아 제국에 막대한 부담을 안겨주며 2월 혁명의 주요 배경으로 작용했다. 러시아는 세르비아와의 상호 협약에 따라 오스트리아와 독일에 선전포고를 하고 참전했다.[8] 초기에는 오스트리아 방면에서 승리했지만, 1914년 타넨베르크 전투와 1915년 고를리체-타르누프 전투 등 독일과의 전투에서 연이어 패배하면서[9] 전황은 불리하게 전개되었다.전쟁이 장기화되면서 러시아는 심각한 인명 피해와 경제난을 겪었다. 1917년 1월까지 사망, 부상, 실종 등 약 600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고, 반란이 빈번해졌으며, 사기는 극도로 저하되었다.[9] 탈영률은 혁명 전 한 달에 약 3만 4천 명에 달했다.[9]
내부적으로는 기근이 임박했고, 과도하게 늘어난 철도망 때문에 상품이 부족해졌다.[9] 성장률이 높았던 러시아 경제는 전쟁으로 유럽 시장에서 차단되었고, 산업은 압박을 받았으며, 인플레이션이 치솟으면서 임금이 따라가지 못했다.[4]
차르 니콜라이 2세는 1915년 여름, 군의 최고 사령관이 되어 직접 군을 지휘하려 했으나, 이는 오히려 군주제를 인기 없는 전쟁과 연관시키고, 그의 무능한 지휘는 전황을 더욱 악화시켰다.[10] 또한, 니콜라이 2세가 전선에 나가 있는 동안, 독일 출신 황후 알렉산드라가 라스푸틴의 영향 아래 국정을 운영하면서 민심은 더욱 이반되었다.
2. 2. 차르 체제의 모순
러시아 제국의 황제 니콜라이 2세의 전제 정치는 시대착오적인 것이었으며, 의회(두마)의 권한은 극히 제한적이었다.[8] 정부의 부패와 무능은 민중의 불신을 증폭시켰다.[13] 특히, 독일 제국 출신 황후 알렉산드라와 요승 라스푸틴의 국정 농단은 황실의 권위를 실추시키고 민심 이반을 가속화했다.[11][14][15]사라예보 사건을 계기로 1914년에 발발한 제1차 세계 대전은 유럽 열강을 끌어들이며 각국의 총력전으로 치달았다. 러시아 제국은 세르비아와의 상호 조약에 따라 오스트리아와 독일에 선전포고하고, 오스트리아 전선에서 초기에는 승리를 거두었으나, 독일과의 전투에서는 1914년의 탄넨베르크 전투와 이듬해의 고를리체-타르누프 전투를 시작으로 패배가 이어졌고, 국내에서는 길고 힘든 전시 생활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고 있었다. 차르에 대한 농민들의 존경심은 변함이 없었지만, 라스푸틴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독일 출신의 알렉산드라 황후에 대한 공개적인 비난이 행해지는 등, 국내의 불안정 요인이 엿보이고 있었다.[8]
1916년 12월 30일 라스푸틴이 암살당하고 암살범들이 처벌받지 않자, 이는 니콜라이 황제의 아내가 라스푸틴(시베리아 장로(스타레츠))에게 의존한다는 비난의 진실을 보여주는 징후로 해석되었다. 도덕적으로 나약한 존재로 전락한 황제의 권위는 더욱 추락했다.[11] 1915년 9월부터 1917년 2월까지 '황후의 통치' 17개월 동안 러시아는 총리 4명, 내무부 장관 5명, 외무장관 3명, 육군부 장관 3명, 교통부 장관 3명, 농업부 장관 4명을 거쳤다. 이른바 '장관들의 줄사퇴'는 유능한 인물들을 권력에서 제거했을 뿐만 아니라 아무도 직책에 충분히 머물지 못해 업무를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에 정부 업무를 혼란에 빠뜨렸다."[13]
두마 의장 미하일 로디안코, 마리 파블로브나 대공녀 그리고 영국 대사 버캐넌은 알렉산드라 황후의 영향력 배제를 요구했지만, 니콜라이 황제는 여전히 그들의 조언을 거부했다.[14] 많은 사람들은 문제가 라스푸틴이 아니라고 결론지었다.[15]
3. 혁명 발발
1917년 2월 23일(율리우스력, 3월 8일) 국제 여성의 날을 맞아 러시아 수도 페트로그라드(지금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여성 노동자들이 식량 배급 개선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24] 이 시위는 곧 노동자, 군인, 시민들이 합세하면서 대규모 봉기로 발전했다.
3. 1. 시위 확산과 군대의 반란
1917년 2월 23일(율리우스력, 3월 8일) 국제 여성의 날을 맞아 러시아 수도 페트로그라드(지금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식량 배급 개선을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졌다.[24] 초기 시위는 수만 명 규모였지만 비교적 온건하게 진행되었고, 수도 치안을 담당하던 하바로프 장군은 경찰과 기병대 투입만으로도 충분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러나 시위 규모는 점차 커져 도시 노동자 대부분이 참여하게 되었고, "빵을 달라", "전쟁 중단", "차르 타도" 등의 구호를 외치며 과격해졌다.[22][24]니콜라이 고리친 총리는 사태 수습을 포기하고 전선의 니콜라이 2세에게 사임을 제안했지만, 황제는 이를 거부하고 하바로프에게 시위 진압을 명령했다.[30] 2월 26일, 넵스키 대로에서 경찰이 시위대에 발포하여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고,[26] 이에 파블롭스키 예비 연대 소속 일부 병사들이 반란을 일으켰다.[29] 이는 페트로그라드 주둔군에서 최초의 공개적인 반란이었다. 시내에 주둔한 다른 연대들도 반란군 진압과 노동자 측 참여 사이에서 혼란스러워했다.
두마 의장 미하일 로드잔코는 황제에게 수도가 무질서 상태에 있다는 것을 알리고, 새로운 내각을 구성하여 민중의 불만을 가라앉힐 것을 요청했다.[33] 니콜라이 2세는 이바노프 장군에게 몇 개 연대를 수도로 보내 반란을 진압하도록 명령했다.
2월 27일, 볼린스키 연대 병사들이 상사를 사살하고 거리로 나서면서 다른 연대들도 반란에 가담하기 시작했다.[35] 저녁 무렵 반란 병사의 규모는 수만 명에 달했고, 레프 트로츠키는 그의 저서 《러시아 혁명사》에서 봉기에 참여하지 않은 것은 휴가를 보내고 있었던 부대뿐이었다고 기록했다. 반란 병사와 노동자들은 내무부, 군사령부, 경비대 사령부, 경찰, 무기고 등을 습격하여 무기를 확보했다. 하바로프 장군은 해군 본부 건물에서 농성을 시도했지만, 병사들의 탈주는 멈추지 않았고 부대는 곧 해산되었다.[36] 27일에는 모스크바에서, 3월 초에는 다른 도시에서도 혁명이 시작되었고, 군부대도 거기에 동조하고 있었다.


3. 2. 두마의 역할
미하일 로쟌코 두마 의장은 니콜라이 황제에게 수도가 무질서 상태에 있다는 것을 신속하게 알리고, 새로운 내각을 조직하여 민중의 불만을 가라앉힐 것을 요청했다. 이 연락을 받은 니콜라이 2세는 이바노프 장군에게 몇 개 연대를 수도로 보내 반란을 진압하도록 명령했다. 1916년 12월 30일 라스푸틴이 암살당하고 암살범들이 처벌받지 않자, 이는 니콜라이 황제의 아내가 라스푸틴(시베리아 장로(스타레츠))에게 의존한다는 비난의 진실을 보여주는 징후로 해석되었다. 도덕적으로 나약한 존재로 전락한 황제의 권위는 더욱 추락했다.[11]두마 의장 미하일 로디안코, 마리 파블로브나 대공녀 그리고 영국 대사 버캐넌은 알렉산드라 황후의 영향력 배제를 요구했지만, 니콜라이 황제는 여전히 그들의 조언을 거부했다.[14] 1월 14일 구력(1월 27일 신력) 게오르기 류보프는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대공에게 그(대공)가 국가를 통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결국 두마는 임시위원회를 구성하여 정권 장악을 시도했다. 2월 8일 황제의 뜻에 따라 니콜라이 마클라코프는 알렉산드르 프로토포포프와 함께…두마 해산 선언문 초안을 작성했다(1917년 2월 14일 개원 전).[18][19] 두마는 해산되었고 프로토포포프는 독재자로 선포되었다.[20]
4. 소비에트 결성
2월 혁명 직후, 페트로그라드에서는 광범위한 흥분이 일어났다.[39] 혁명 과정에서 멘셰비키와 사회혁명당 등 사회주의 세력은 노동자와 병사들의 대표 기관인 소비에트를 결성했다.[39] 1905년의 소비에트와 유사하게, 멘셰비키 소속 의원과 노동자 대표 등이 소비에트 결성을 호소했다. 같은 날 밤 회의에서 멘셰비키의 니콜라이 츠헤이제가 의장으로, 사회혁명당의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부의장으로 선출되어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가 결성되었다. 동시에 선출된 집행위원 15명 가운데 급진적인 혁명을 주창하는 볼셰비키는 2명뿐이었다.[40]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는 임시정부와 함께 이중 권력 체제를 형성하며 혁명을 주도했다. 소비에트는 프롤레타리아를, 임시정부는 부르주아지를 대표했다.[39] 소비에트는 노동자와 병사를 통제하여 더 강력한 실질적인 권력을 가졌지만, 행정과 관료제에 개입하기를 원하지 않았다.[40] 3월 1일(구력, 신력 3월 14일)에는 명령 제1호를 발표하여 사실상의 우위를 확보했다.[40]
{{blockquote
| 국가두마 군사위원회(임시정부가 된 조직의 일부)의 명령은 노동자 및 병사 대표 소비에트의 명령과 결의와 상충하지 않는 경우에만 집행되어야 한다. |명령 제1호 4항, 1917년 3월 1일.[40]
}}
초기 소비에트 집행위원장은 멘셰비키인 니콜라이 츠헤이제, 마트베이 스코벨레프, 알렉산드르 케렌스키였다. 이들은 2월 혁명이 러시아에 사회주의가 아닌 자본주의 발전을 가져오는 "부르주아 혁명"이라고 믿었다.[40] 1917년 봄, 러시아 전역에 700개의 소비에트가 설립되어 인구의 약 3분의 1에 해당하며 프롤레타리아와 그들의 이익을 대변했다.[39]
5. 임시 정부 수립과 니콜라이 2세 퇴위
1917년 2월 27일(율리우스력, 그레고리력 3월 12일), 황후가 페트로그라드의 상황을 과잉 반응이라 표현한 편지를 보내자, 니콜라이 2세는 "뚱뚱한 로디안코가 쓸데없는 소리를 잔뜩 적어 보냈는데, 답조차 할 가치가 없다"며 짜증을 냈다. 그러나 페트로그라드에서는 볼린스키 연대를 시작으로 주둔군 대부분이 반란을 일으켰다. 이들은 세묘노프스키, 프레오브라젠스키, 모스크바 연대를 반란에 가담시켰고,[35] 페트로파블롭스크 요새에서 확보한 4만 정의 소총을 노동자들에게 분배했다.[5] 정부가 군중 통제에 투입한 코사크 부대조차 백성을 지지하는 징후를 보였고, 황제 정권의 상징들은 도시 곳곳에서 뜯겨 내려졌다. 니콜라이 2세가 두마 회의를 중단시켜 두마의 법적 권한이 없어진 상황에서, 고위 군 지휘관들은 황제에게 두마에 권력을 이양하도록 설득하려 했다.[4]
진보 블록의 촉구로 임시위원회가 설립되어 법과 질서 회복을 목표로 하고, 스스로를 러시아 제국의 통치 기구로 선포했다. 임시위원회는 연합국과 함께 전쟁을 성공적으로 끝내는 것을 주요 목표 중 하나로 삼았는데, 이는 현재 체제로는 불가능하다는 확신 때문이었다.[37] 한편, 사회주의 정당들은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를 재건하여 노동자와 병사들을 대표하게 했다. 이후 충성스러운 부대들도 다음 날 충성을 바꿨다.
2월 28일(율리우스력, 3월 13일 그레고리력) 새벽, 황제는 모길레프를 떠났지만, 혁명가들이 수도 주변 기차역을 장악하여 페트로그라드에 도착하지 못했다. 3월 1일(율리우스력, 3월 14일 그레고리력) 저녁, 프스코프에 도착한 니콜라이 2세에게 육군참모총장 니콜라이 루즈스키와 두마 의원 바실리 슐긴, 알렉산드르 구치코프는 퇴위를 제안했다. 결국 니콜라이 2세는 1917년 3월 2일(율리우스력) 자신과 아들 황태자 알렉세이를 대신하여 동생 대공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에게 양위했다. 그러나 다음 날, 미하일 대공은 러시아 입헌의회의 민주적 합의가 있을 때만 왕관을 받겠다며 사실상 즉위를 거부했고, 3월 3일(율리우스력, 3월 16일 그레고리력) 이 결정으로 300년 된 로마노프 왕조는 막을 내렸다.[39]
2월 혁명 직후, 국가두마 임시위원회는 3월 3일(구력, 신력 3월 16일) 임시정부를 선포하고, 같은 날 시민적·정치적 권리 계획과 러시아 입헌의회 설립을 제안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39] 그러나 1차 세계 대전 참전과 토지 문제 등 혁명의 주요 원인들은 언급하지 않았다.[42]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와 임시정부는 러시아에 대한 이중 권력을 공유했다.[40] 소비에트는 노동자와 병사를 통제하여 실질적인 권력을 가졌지만, 행정에 개입하기를 원하지 않았다. 임시정부는 국민의 지지를 받지 못해 사회주의 정당의 참여를 환영하여 드보예브라스티예 (이중 권력)이 수립되었다.[39] 3월 1일(구력, 신력 3월 14일), 소비에트는 명령 제1호를 발표하여 임시정부보다 우위를 확보했다.
임시정부는 자유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의 연합으로, 초기 소비에트 집행위원장은 멘셰비키인 니콜라이 츠헤이제, 마트베이 스코벨레프, 알렉산드르 케렌스키였다.[40] 정부는 게오르기 르보프 공작이 의장을 맡았고, 두마 의원과 입헌민주당 의원을 포함하여 부르주아지의 이익을 대변했다.[42] 임시정부는 사형제 폐지, 정치범 사면, 언론 자유 등 좌파 성향의 정책을 시행하려 노력했다.[42] 이중 권력은 수도와 정치 체제 밖에서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교육받은 사람들, 노동자, 병사들이 모여 질서, 식량 시스템, 민주적 선거, 차르 관료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체제가 있었다.[42] 1917년 봄, 러시아 전역에 700개의 소비에트가 설립되어 인구의 약 3분의 1을 대표하며 프롤레타리아의 이익을 대변했다.[39]
파벨 밀류코프(Павел Милюков)가 이끄는 자유주의 정당인 입헌민주당(Кадет)이 주도권을 쥐고 있던 두마는 제정 정부와의 대립 노선을 취하고 있었다. 시민혁명(2월 혁명)이 일어나자, 당시 의원들이 혁명정부 수립을 선포하였다. 카데트 주류파를 중심으로 한 제1차 러시아 임시정부(Временное правительство России)는 미하일 대공(Михаил Александрович)을 후계자로 삼아 러시아 제국을 서구적인 입헌군주제 국가로 변모시켜 로마노프 왕조(Романовы)의 존속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미하일 대공이 황위 계승을 거부하고, 니콜라이 2세(Николай II)가 후계자 없이 퇴위함으로써 300년간 지속된 로마노프 왕조의 제정(帝政)은 붕괴되었다.[55][58] 임시정부였지만, 러시아 최초의 민주파 정권이 탄생하였다. 제1차 임시정부는 서구적인 입헌민주주의를 지향하는 한편, 여성 참정권(Всеобщее избирательное право)과 사법부 독립 등 당시 유럽에서 가장 진보적인 정책을 내놓았다.[56] 그러나 1917년 4월 20일, 외교 문제에서 연합국(Союзники России в Первой мировой войне)으로부터 동부 전선 유지를 요구받자, 임시정부 외무장관이 된 밀류코프는 패전을 전제로 한 휴전을 요구하는 민중과 군인들의 여론을 무시하고 밀류코프 각서(Нота Милюкова)라 불리는 서한을 보내 러시아가 연합국 측으로 단독 강화하지 않고 전쟁을 계속할 것을 약속하였다. 전쟁 지속이라는 밀류코프의 결정은 염전 분위기에 찬 러시아 국민들의 분노를 사게 되었다. 페트로그라드(Петроград)의 시민과 군인들은 시위를 벌였고, 밀류코프와 구치코프(Александр Иванович Гучков) 해군장관은 사임을 강요당하였다. 그리고 온건 사회주의 정당인 사회혁명당(Партия социалистов-революционеров, 에스엘(Эсеры))과 멘셰비키(Меньшевики́)를 중심으로 하는 사회주의자들도 참여하는 제1차 연립 정부가 수립되었다.[57][58]
그 후, 사회혁명당의 알렉산드르 케렌스키(Алекса́ндр Фёдорович Кере́нский)를 장관회의 의장(수상)으로 하는 제2차 연립정부가 수립되었다. 입헌민주당(카데트)과 정부 내 사회주의자들(멘셰비키, 사회혁명당) 간의 균열은 더욱 깊어졌다. 제3차 연립정부에서 사회주의 세력은 유산층과의 연대를 위해 입헌민주당에서 각료를 배출하였다.[59] 제3차 연립정부는 레닌이 이끄는 볼셰비키(Большевики́)에 의해 10월 혁명이라는 쿠데타로 해체될 때까지 존속하였다.[56][58]
6. 임시 정부의 개혁과 한계
러시아 최초의 민주파 정권인 임시정부는 서구적인 입헌민주주의를 지향하며 여성 참정권과 사법부 독립 등 당시 유럽에서 가장 진보적인 정책을 내놓았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으로부터 동부 전선 유지를 요구받자, 외무장관 파벨 밀류코프(파벨 밀류코프/Павел Милюковru)는 패전을 전제로 한 휴전을 요구하는 민중과 군인들의 여론을 무시하고 밀류코프 각서(밀류코프 통첩/Милюковская нотаru)를 보내 러시아가 연합국 측으로 단독 강화하지 않고 전쟁을 계속할 것을 약속하였다. 전쟁 지속 결정은 염전 분위기에 찬 러시아 국민들의 분노를 사 페트로그라드(러시아어: Петроград)의 시민과 군인들은 시위를 벌였고, 밀류코프와 알렉산드르 구치코프(알렉산드르 구치코프/Алекса́ндр Ива́нович Гучко́вru) 해군장관은 사임해야 했다. 이후 사회혁명당(에스엘)과 멘셰비키를 중심으로 하는 사회주의자들도 참여하는 제1차 연립 정부가 수립되었다. 그 후, 사회혁명당의 알렉산드르 케렌스키(알렉산드르 케렌스키/Алекса́ндр Фёдорович Кере́нскийru)를 수상으로 하는 제2차 연립정부가 수립되었으나, 입헌민주당(카데트)과 정부 내 사회주의자들 간의 균열은 더욱 깊어졌다.
6. 1. 연합국과의 관계와 전쟁 지속
6. 2. 토지 문제와 사회 불안
7. 10월 혁명과 임시 정부의 붕괴
차르의 퇴위 이후, 카데트의 견해를 공유한 임시정부가 새로운 권력 기구로 선포되었다. 동시에 노동자와 병사들로 구성된 소비에트 집행위원회가 구성되어, "이중 권력"이 생겨났다.[40] 임시정부는 공식적인 권한을 가졌지만, 소비에트는 국민의 지지를 받아 정치적 불안을 야기했다.[40]
4월 위기(1917년) 동안, 이반 일린은 평화를 요구하는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에 반대했던 카데트 외무장관 파벨 밀류코프에 동의했다.[41] 파벨 밀류코프(Павел Милюков)가 이끄는 입헌민주당(立憲民主党, 카데트(Кадет))이 주도권을 쥐고 있던 두마(Дума, 러시아 제국 의회)는 1916년 11월 차르 제도를 버리고 “폭탄 연설”을 하는 등 제정 정부와의 대립 노선을 취하고 있었다.[55] 2월 혁명(2月革命)이후 제1차 러시아 임시정부(ロシア臨時政府)는 미하일 대공(ミハイル大公, Михаил Александрович)을 후계자로 삼아 로마노프 왕조(ロマノフ朝)의 존속을 시도하였으나, 니콜라이 2세(ニコライ2世)가 후계자 없이 퇴위함으로써 제정(帝政, 러시아 제국)은 붕괴되었다.[55][58] 임시정부였지만, 카데트 등으로 구성된 정권이 수립됨으로써 러시아 최초의 민주파 정권이 탄생하였다. 제1차 임시정부는 서구적인 입헌민주주의를 지향하는 한편, 여성 참정권(女性参政権)과 사법부 독립 등 당시 유럽에서 가장 진보적인 정책을 내놓았다.[56] 1차 세계 대전의 연합국(連合国 (第一次世界大戦))으로부터 동부 전선 유지를 요구받자, 임시정부 외무장관이 된 밀류코프는 밀류코프 각서(ミリュコーフ通牒)를 보내 러시아가 전쟁을 계속할 것을 약속하였다. 전쟁 지속이라는 밀류코프의 결정은 염전 분위기에 찬 러시아 국민들의 분노를 사게 되었고, 결국 밀류코프와 구치코프(グチコフ) 해군장관은 사임하였다.[57][58]
망명 중이던 블라디미르 레닌은 4월 16일(율리우스력) 페트로그라드에 도착, 4월 테제를 발표하며 임시정부를 약화시키기 시작했다.[41] 그는 "평화, 빵, 토지" 등의 구호를 통해 프롤레타리아의 지지를 얻으려 했다.[42] 7월 혁명에서 약 50만 명의 병사, 선원, 노동자들이 시위를 벌였으나, 지도부 부족으로 해산되었고, 임시정부는 주요 볼셰비키에 대한 체포 영장을 발부했다.[43] 레닌은 핀란드로 도피했고, 임시정부 수장으로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대체되었다.[44]
케렌스키는 언론의 자유, 사형 폐지 등 개혁을 추진했지만, 전쟁 지속으로 인한 군사적 손실, 탈영병 증가, 정치적 혼란, 식량 부족 등 난관에 직면했다.[45] 코르닐로프 사건에서 라브르 코르닐로프 장군은 케렌스키의 동의하에 군대를 페트로그라드로 진격시켰으나, 케렌스키는 쿠데타 가능성에 겁먹고 명령을 취소했다. 케렌스키는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에 도움을 요청했고, 볼셰비키, 멘셰비키, 사회혁명당원들이 군대를 설득하여 항복시켰다.[47] 9월 1일(율리우스력), 케렌스키는 군주제를 폐지하고 러시아 공화국 수립을 선포했다.[48]
결국, "이중 권력" 간의 갈등은 10월 혁명에서 볼셰비키에 의해 임시정부가 전복되면서 막을 내렸다.[49]
8. 2월 혁명의 의의와 영향
차르 퇴위 후, 카데트의 견해를 공유하는 임시정부가 새로운 권력 기구로 스스로를 선포했다.[40] 그러나 노동자와 병사들로 구성된 민주적인 기구인 소비에트가 동시에 구성되면서 "이중 권력"이 발생했다.[40] 민주적으로 구성된 소비에트는 온건 좌파가 다수였지만, 임시정부는 자유주의자들로 구성되어 국민 대다수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했다.[40] 이러한 상황은 10월 볼셰비키 혁명까지 정치적 불안을 야기했다.[40]
4월 위기(1917년) 동안 이반 일린은 평화를 요구하는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에 반대했던 파벨 밀류코프 외무장관에 동의했다.[41] 블라디미르 레닌은 4월 테제를 발표, "혁명적 패배주의"를 옹호하며 임시정부를 약화시키려 했다.[41] 그는 소수 정당이 되어 임시정부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는 것이 정부 전복에 효과적이라고 믿었다.[41] 레닌은 "평화, 빵, 토지" 등의 구호를 통해 프롤레타리아의 지지를 얻고자 했다.[42]
7월 혁명에서 약 50만 명의 병사, 선원, 노동자들이 페트로그라드 거리에서 시위를 벌였다.[43] 소비에트 지도부는 빅토르 체르노프를 보내 군중을 진정시키려 했으나 실패했고, 정부는 주요 볼셰비키에 대한 체포 영장을 발부했다.[43] 레닌은 핀란드로 도피했고,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임시정부 수장이 되었다.[44]
케렌스키는 언론 자유, 사형 폐지 등 개혁을 추진했지만, 전쟁 지속으로 인한 군사적 손실, 탈영병 증가, 정치 세력의 압력, 식량 부족 등 난관에 직면했다.[45] 1917년 8월 러시아 사회주의자 회의에서 전쟁 지속을 거부한 볼셰비키와 온건 사회주의자들 사이에 분열이 발생했다.[46]
코르닐로프 사건에서 라브르 코르닐로프 장군은 케렌스키의 동의를 얻어 군대를 페트로그라드로 진격시켰으나, 케렌스키는 쿠데타 가능성을 우려하여 명령을 취소했다.[47] 케렌스키는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에 도움을 요청했고, 볼셰비키, 멘셰비키, 사회혁명당이 군대를 설득하여 항복시켰다.[47] 1917년 9월 1일(율리우스력), 케렌스키는 군주제를 폐지하고 러시아 공화국 수립을 선포했다.[48]
결국 연합국의 압력과 "이중 권력" 간의 갈등은 심화되었고, 2월 혁명으로 탄생한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와 임시정부는 10월 혁명에서 볼셰비키에 의해 전복되었다.[49]
8. 1. 민주주의 혁명의 시도
차르 퇴위 후, 카데트의 견해를 공유하는 임시정부가 새로운 권력 기구로 스스로를 선포했다.[40] 그러나 노동자와 병사들로 구성된 민주적인 기구인 소비에트가 동시에 구성되면서 "이중 권력"이 발생했다.[40] 민주적으로 구성된 소비에트는 온건 좌파가 다수였지만, 임시정부는 자유주의자들로 구성되어 국민 대다수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했다.[40] 이러한 상황은 10월 볼셰비키 혁명까지 정치적 불안을 야기했다.[40]4월 위기(1917년) 동안 이반 일린은 평화를 요구하는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에 반대했던 파벨 밀류코프 외무장관에 동의했다.[41] 블라디미르 레닌은 4월 테제를 발표, "혁명적 패배주의"를 옹호하며 임시정부를 약화시키려 했다.[41] 그는 소수 정당이 되어 임시정부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는 것이 정부 전복에 효과적이라고 믿었다.[41] 레닌은 "평화, 빵, 토지" 등의 구호를 통해 프롤레타리아의 지지를 얻고자 했다.[42]
7월 혁명에서 약 50만 명의 병사, 선원, 노동자들이 페트로그라드 거리에서 시위를 벌였다.[43] 소비에트 지도부는 빅토르 체르노프를 보내 군중을 진정시키려 했으나 실패했고, 정부는 주요 볼셰비키에 대한 체포 영장을 발부했다.[43] 레닌은 핀란드로 도피했고, 알렉산드르 케렌스키가 임시정부 수장이 되었다.[44]
케렌스키는 언론 자유, 사형 폐지 등 개혁을 추진했지만, 전쟁 지속으로 인한 군사적 손실, 탈영병 증가, 정치 세력의 압력, 식량 부족 등 난관에 직면했다.[45] 1917년 8월 러시아 사회주의자 회의에서 전쟁 지속을 거부한 볼셰비키와 온건 사회주의자들 사이에 분열이 발생했다.[46]
코르닐로프 사건에서 라브르 코르닐로프 장군은 케렌스키의 동의를 얻어 군대를 페트로그라드로 진격시켰으나, 케렌스키는 쿠데타 가능성을 우려하여 명령을 취소했다.[47] 케렌스키는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에 도움을 요청했고, 볼셰비키, 멘셰비키, 사회혁명당이 군대를 설득하여 항복시켰다.[47] 1917년 9월 1일(율리우스력), 케렌스키는 군주제를 폐지하고 러시아 공화국 수립을 선포했다.[48]
결국 연합국의 압력과 "이중 권력" 간의 갈등은 심화되었고, 2월 혁명으로 탄생한 페트로그라드 소비에트와 임시정부는 10월 혁명에서 볼셰비키에 의해 전복되었다.[49]
8. 2. 한국 민주주의 운동에 미친 영향
9. 2월 혁명에 대한 다양한 역사적 해석
2월 혁명의 역사 서술에 관한 논의에서 공산주의, 자유주의, 수정주의라는 세 가지 역사적 해석이 관련되어 있다. 이 세 가지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은 2월 차르 정부 붕괴의 근본 원인에 대한 각각의 신념 때문에 서로 분리되어 존재한다.
- 공산주의 역사가들은 2월 혁명을 가져온 대중이 산업화와 자유의 시대를 가져온 '근대화' 농민들의 조직된 집단이었다는 이야기를 제시한다.[50] 공산주의 역사가 보리스 소콜로프는 2월 혁명이 국민들의 결집이었으며 10월 혁명보다 더 긍정적이었다는 믿음을 공개적으로 밝혀왔다. 공산주의 역사가들은 제1차 세계 대전(WWI)이 2월 혁명으로 이어지는 데 기여한 역할을 일관되게 경시한다.
- 반대로, 2월 혁명에 대한 자유주의적 관점은 거의 항상 제1차 세계 대전을 혁명의 촉매제로 인정한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자유주의 역사가들은 볼셰비키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러시아 시민들에게 심어진 걱정과 공포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인정한다.[51] 자유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2월 혁명의 전반적인 메시지와 목표는 궁극적으로 민주주의였으며, 제1차 세계 대전과 다른 정치적 요인들이 여론을 차르에 반대하도록 만들었다.
- 수정주의 역사가들은 2월 혁명이 자유주의자들과 공산주의자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불가피하지 않았다는 연표를 제시한다. 수정주의자들은 토지 소유 문제로 불만을 품은 시골의 불만스러운 농민들까지 차르 정권에 대한 증가하는 압력을 다른 두 집단보다 더 거슬러 올라간다.[52] 이러한 긴장은 1917년까지 계속해서 고조되어 불만이 많은 집단의 우려를 포함하는 완전한 제도적 위기가 되었다. 수정주의 역사가 리처드 파이프스는 러시아 혁명에 대한 반공산주의적 접근 방식을 공개적으로 밝혀왔다.
::''서유럽의 관점에서 러시아 역사를 연구하면 봉건주의의 부재가 러시아에 미친 영향을 인식하게 된다. 봉건주의는 서구에서 중앙 정부에 도움이 되는 경제적 및 정치적 제도의 네트워크를 만들었다…일단 [중앙 정부]가 사회적 지원과 상대적 안정의 원천으로 봉건 제도를 대체한 후. 러시아는 전통적인 의미에서 봉건주의를 알지 못했다. 15세기와 16세기 모스크바 군주국이 등장한 후 모든 토지 소유자는 왕관의 최고 임차인이었고, 하위 영주권은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모든 권력은 왕관에 집중되었다.'' — (Pipes, Richard. A Concise History of the Russian Revolution. New York: Vintage, 1996.)
이 세 가지 접근 방식 중 모든 접근 방식은 현대 비판을 받았다. 2월 혁명은 현재 많은 학자들에 의해 "신화화"되는 사건으로 여겨진다.[53]
9. 1. 자유주의적 관점
자유주의 역사가들은 제1차 세계 대전을 2월 혁명의 주요 원인으로 본다.[51] 이들은 볼셰비키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러시아 시민들에게 심어진 걱정과 공포를 이용할 수 있었다고 평가한다.[51] 자유주의적 관점에 따르면, 2월 혁명의 전반적인 메시지와 목표는 궁극적으로 민주주의였으며, 제1차 세계 대전과 다른 정치적 요인들이 여론을 차르에 반대하도록 만들었다.[51] 이는 민주주의를 향한 중요한 발걸음이었다고 평가된다.9. 2. 수정주의적 관점
수정주의 역사가들은 2월 혁명이 자유주의자나 공산주의자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불가피한 것은 아니었다고 주장한다.[52] 이들은 토지 소유 문제로 불만을 품은 농민들의 불만과 같은 다양한 요인들이 차르 정권에 대한 압력을 가중시켰다고 본다.[52] 이러한 긴장은 1917년까지 계속 고조되어 제도적 위기를 초래했다. 수정주의 역사가 리처드 파이프스는 러시아 혁명에 대한 반공산주의적 접근 방식을 공개적으로 밝혔다. 그는 서유럽의 관점에서 러시아 역사를 연구하면 봉건주의의 부재가 러시아에 미친 영향을 인식하게 된다고 언급하였다. 봉건주의는 서구에서 중앙 정부에 도움이 되는 경제적 및 정치적 제도의 네트워크를 만들었지만, 러시아는 전통적인 의미에서 봉건주의를 알지 못했고, 15세기와 16세기 모스크바 군주국이 등장한 후 모든 토지 소유자는 왕관의 최고 임차인이었으며 하위 영주권은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모든 권력은 왕관에 집중되었다고 설명한다.[52]9. 3. 공산주의적 관점
공산주의 역사가들은 2월 혁명을 산업화와 자유의 시대를 가져온 '근대화' 농민들의 조직된 집단이 이끈 혁명으로 평가한다.[50] 공산주의 역사가 보리스 소콜로프는 2월 혁명이 국민들의 결집이었으며 10월 혁명보다 더 긍정적이었다는 견해를 밝혔다.[50] 공산주의 역사가들은 제1차 세계 대전이 2월 혁명으로 이어지는 데 기여한 역할을 경시하는 경향을 보인다.[50]참조
[1]
서적
A People's Tragedy
https://books.google[...]
First
[2]
백과사전
February Bourgeois Democratic Revolution of 1917
http://encyclopedia2[...]
The Gale Group, Inc.
[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Women's Day
https://www.un.org/e[...]
[4]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제목 미상)
[6]
웹사이트
Russian Revolution – Causes, Timeline & Definition
https://www.history.[...]
2020-10-15
[7]
웹사이트
Russian Revolution {{!}} Definition, Causes, Summary, History, & Facts
https://www.britanni[...]
2020-10-15
[8]
서적
The Bolsheviks in Power: The First Year of Soviet Rule in Petrograd
https://books.google[...]
Indiana UP
[9]
서적
(제목 미상)
[10]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1905–1921
[11]
서적
Träume und Alpträume. Eine Geschichte Russlands im 20. Jahrhundert
C.H. Beck
[12]
웹사이트
Последний военный министр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 Конкурс молодых историков "Наследие предков – молодым"
http://ist-konkurs.r[...]
[13]
서적
(제목 미상)
[14]
서적
(제목 미상)
[15]
서적
(제목 미상)
[16]
웹사이트
The Russian diary of an Englishman, Petrograd, 1915–1917
https://archive.org/[...]
New York, McBride
[17]
서적
For the Faith, the Tsar and the Fatherland. The Romanovs in the First World War
[18]
웹사이트
The "Cabinet" of Prince N.D. Golitsyn and the search for a political course in the winter of 1916–1917
http://российская-ис[...]
[19]
문서
"Министр внутренних дел Н. А. Маклаков: политическая карьера русского Полиньяка"
[20]
서적
The Russian Provisional Government, 1917: Documents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4-12-11
[21]
문서
February Revolution Begins in Russia
[22]
서적
(제목 미상)
[23]
웹사이트
Letters from Tsar Nicholas to Tsaritsa Alexandra – February 1917
http://www.alexander[...]
[24]
서적
(제목 미상)
[25]
문서
When women set Russia ablaze
[26]
서적
The Romanovs 1613–1918
Weidenfeld & Nicolson
[27]
서적
(제목 미상)
[28]
서적
Black Night White Snow
Da Capo Press
[29]
서적
Black Night White Snow
Da Capo Press
[30]
서적
Russia in Revolution – By an eye-withness
H. Jenkins
[31]
서적
(제목 미상)
[32]
문서
"Министр внутренних дел Н. А. Маклаков: политическая карьера русского Полиньяка"
[33]
서적
A People's Tragedy
[34]
서적
(제목 미상)
[35]
서적
(제목 미상)
[36]
서적
Katkov
[37]
서적
P.N. Milyukov
[38]
웹사이트
Откуда Россия шагнула в пропасть... – Русское Имперское Движение
https://web.archive.[...]
2017-02-11
[39]
서적
Russia in Revolu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0]
서적
Russia in Revolu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1]
뉴스
April Thesis
http://soviethistory[...]
2017-11-01
[42]
서적
Russia in Revolu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3]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1905–1921
[44]
서적
Critical companion to the Russian Revolution, 1914–1921
Indiana University Press
1997
[45]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1905–1921
[46]
학술지
The Democratic Conference and the Pre-Parliament in Russia, 1917: Class, Nationality, and the Building of a Postimperial Community
2021-11-22
[47]
서적
Voices of revolution : 1917
Yale University Press
2001
[48]
웹사이트
Провозглашена Россий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https://www.prlib.ru[...]
2021-11-06
[49]
서적
The Russian Revolution, 1905–1921
[50]
학술지
The February Revolution
[51]
학술지
The February Revolution in the Russian Army
1970
[52]
학술지
Review of Rethinking the Russian Revolution
1995
[53]
웹사이트
February's forgotten vanguard {{!}} International Socialist Review
https://isreview.org[...]
2017-11-08
[54]
웹사이트
臨時政府(ロシア二月革命)とは
https://kotobank.jp/[...]
2022-02-01
[55]
웹사이트
ロシア革命とは
https://kotobank.jp/[...]
2022-02-01
[56]
웹사이트
<視点>変貌したロシア ソ連崩壊30年 権威主義は必然か 外報部・常盤伸: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2-02-01
[57]
서적
不滅の敗者ミリュコフ ロシア革命神話を砕く
恵雅堂出版
[58]
웹사이트
ロシア革命と第一次大戦関係の英外務省文書集 1914-1918年
https://www.gale.com[...]
2024-02-05
[59]
서적
全ロシア憲法制定会議論
法律文化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